『 print() 함수를 이용해 출력하기 』
print() 함수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가장 유용하게 사용되는 함수일 것입니다.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하게 될 경우 모두가 print() 함수로 무언가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부터 시작하게 됩니다.
그럼 print() 함수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겠습니다.
■ 함수 정의
print(...)
print(value, ..., sep=' ', end='\n', file=sys.stdout, flush=False)
■ 함수 사용하기
print(출력하고자 하는 데이터)
출력하고자 하는 데이터에는 숫자, 문자, 문자열 등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숫자의 경우 바로 입력이 가능하며, 문자 또는 문자열을 출력할 경우 " "(따옴표) 또는 ' '(작은 따옴표)를 이용하여 출력합니다.
print(123) # 숫자를 출력할 경우
print("Hello, Python") # 문자열을 출력할 경우
print('여기에 출력할 문자를 입력해주세요.')
print() 함수는 계산식의 결과 및 부동소수점이 있는 실수, 복소수까지 출력할 수 있습니다.
print(1+1)
print(3.14)
print(1+3j)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숫자를 출력할 경우에는 " " 또는 ' ' 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만약 숫자를 아래와 같이 " " 또는 ' '로 감싸서 출력한다면 문자형식(String type)으로 인식하여 연산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print(100)
print("100")
위 코드의 출력값은 모두 100 이라는 값이 출력되지만, 첫 번째 print()문은 숫자를 출력한 것이며, 두 번째 print()문은 문자를 출력한 것입니다.
위의 예와 같이 동일하게 100 이라는 수를 더할 경우 print("100" + 100) 문에서는 서로 다른 형식(숫자, 문자)을 연산할 경우 에러가 발생하게 됩니다.
만약 문자끼리 더하기 연산을 한다면 아래와 같이 입력된 문자들이 모두 붙어서 출력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