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int() 함수에서 이스케이프 코드 사용하기 』
print() 함수는 출력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큰 따옴표( " " ) 또는 작은 따옴표( ' ' )를 이용하여 화면 상에 출력할 때 사용합니다.
이 때 아래와 같이 큰 따옴표와 작은 따옴표를 혼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원하는 문장이 정상적으로 출력되지만,
print("It's sunny.")
아래와 같이 작은 따옴표만을 이용할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합니다.
print('It's sunny.')
이 경우 출력할 데이터 전체를 감싸고 있는 작은 따옴표를 큰 따옴표로 변경하거나 작은 따옴표 그대로 표시하고자 하는 문자 앞에 ' \ ' 이스케이프 코드를 사용하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int('It\'s sunny.')
print("It's sunny.")
큰 따옴표를 그대로 출력하고자 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print("He said \"It's sunny.\"")
print('He said "It\'s sunny."')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이스케이프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n | 문자열 줄바꿈 하기 |
\t | 문자열 탭 간격만큼 띄워쓰기 |
\\ | 개행문자(역슬레쉬 : \ ) 출력하기 |
\' | 작은 따옴표( ' ) 출력하기 |
\" | 큰 따옴표( " ) 출력하기 |
\r | 캐리지 반환하기 (줄 바꿈 문자, 현재 커서를 가장 앞으로 이동하기) |
\f | 폼 피드 (줄바꿈, 현재 커서에서 다음 줄로 이동하기) |
\a | 벨소리 |
\b | 백스페이스 |
\OOO | Null |
이스케이프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문자 그대로 출력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는 큰 따옴표 또는 작은 따옴표 세개를 연속으로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print("""
How's the weather today?
It's sunny.
It's windy and cold.
""")
print('''
How's the weather today?
It's sunny.
It's windy and col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