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할머니5

#82 '걱정 말아요 문방구' - 추현숙 글 『 걱정 말아요 문방구 』 『 걱정 말아요 문방구 』는 할머니와 단둘이 사는 주인공 마음이가 할머니의 병원비를 마련하기 위해 걱정을 파는 '걱정 말아요 문방구'를 열면서 벌어지는 이야기입니다. 마음이는 자신의 고민뿐만 아니라 친구들의 걱정을 귀 기울여 듣고, 그 고민을 해결해 주기 위해 고군분투합니다. 돈을 벌기 위해 시작했던 문방구였지만, 마음이는 걱정을 사고파는 과정에서 진정한 고민 해결은 물질적인 것이 아닌, 서로의 마음을 나누고 공감해 주는 것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이 책은 다양한 인물들의 걱정을 통해 우리가 겪는 고민들을 보여주며, 걱정을 혼자 짊어지기보다는 서로에게 털어놓고 나누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주는 따뜻한 위로와 용기의 메시지를 전합니다. 오늘은 우리 마음속에.. 2025. 9. 1.
#54 '무릎딱지' - 샤를로트 문드리크 글 『 무릎딱지 』『무릎딱지』는 어느 날 갑자기 엄마와 헤어지게 된 아이가 겪는 슬픔과 이별의 감정을 잔잔하게 담은 그림책입니다. 깨어난 아침, 병상에 계신 엄마가 “이제 영원히 떠날 거야”라고 말하시고, 아이는 현실을 받아들이기 어렵습니다. 속상해 뛰다 다친 무릎 위에 생긴 딱지를 떼면서, 아이는 어쩐지 엄마가 속삭이는 듯한 느낌을 받습니다. 할머니는 아이의 가슴 위에 손을 올리며 말합니다. “여기야, 엄마는 절대로 여기를 떠나지 않아.” 시간이 흐르고 딱지는 저절로 떨어져 나가지만, 아이 마음속 깊은 곳에 엄마는 여전히 살아 있습니다. 이 책은 진정한 치유란 ‘흔적’을 지우는 것이 아니라, 그 기억 속에서 사랑을 발견하는 과정임을 다정하게 보여줍니다. 얘들아, 나를 ‘딱지’라고 놀렸던 무릎 이야기를 들려.. 2025. 8. 13.
#53 '할머니의 용궁 여행' - 권민조 글 『 할머니의 용궁 여행 』『할머니의 용궁 여행』은 제주 해녀인 할머니가 바닷속 생물들과 나누는 특별한 모험을 그린 이야기예요. 어느 날, 전복을 캐러 물질하러 나간 할머니는 다급히 도움을 청하는 광어를 만나 용궁으로 가게 돼요. 용왕의 거북이는 아프고 코에는 플라스틱 빨대가 깊이 박혀 있었어요. 할머니는 할 말도 안 되는 ‘간 달라는 소리’에 크게 화를 내며, 용왕의 고통을 느끼고 빨대를 빼주며 치료해줍니다. 그 뒤 바닷속 동물들이 하나둘씩 다가와 자신들의 상처들을 보여주지요. 인간이 버린 쓰레기로 고통받는 해양 생명들을 보며, 할머니는 ‘무조건 바다부터 살린다’는 해녀의 수칙을 몸소 실천하십니다. 이 책은 옛이야기 ‘별주부전’을 바다 환경 문제와 연결해 재해석하면서, 유머와 반전, 그리고 진정한 용기의.. 2025. 8. 12.
#45 할머니와 하얀 집 - 이윤우 글 『 할머니와 하얀 집 』『할머니와 하얀 집』은 사랑하는 할머니를 떠나보낸 아이의 마음을 담담하지만 따뜻하게 그려낸 그림책입니다. 주인공은 할머니와 함께한 시간, 할머니의 집, 할머니의 냄새, 할머니의 말투를 모두 기억해요. 하지만 어느 날, 할머니는 ‘하얀 집’으로 가게 되고, 주인공은 할머니가 어디로 가신 건지 혼란스러워하지요.이 책은 아이의 시선으로 죽음과 이별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다루면서도, 사랑하는 이를 떠나보낸 뒤에도 기억과 사랑은 우리 마음속에 계속 남아 있다는 것을 따뜻하게 이야기해줍니다. 잔잔한 글과 그림 속에서 우리 모두가 언젠가는 겪게 될 이별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마음속에 간직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부드럽고 조심스러운 위로의 책이랍니다. 나는 할머니를 정말정말 좋아했어. 할머니 집은.. 2025. 8. 5.
#21 팥죽할머니와 호랑이 - 조대인 글 『 팥죽할머니와 호랑이 』 『팥죽할머니와 호랑이』는 우리 전래동화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로, 지혜롭고 용감한 팥죽할머니와 무서운 호랑이의 대결을 흥미진진하게 그려낸 책이에요. 겨울이 오기 전, 팥죽할머니는 맛있는 팥죽을 끓여 먹으려 하지만, 호랑이가 나타나 팥죽을 다 먹고 할머니까지 잡아먹겠다고 해요. 겁도 많고 힘도 약한 할머니는 꾀를 내어 호랑이를 내쫓을 방법을 찾아요. 다행히 할머니의 지혜와 동물 친구들의 도움으로 결국 호랑이를 혼내주고 무사히 팥죽을 나눠 먹는 훈훈한 결말로 이어져요. 이 이야기는 용기와 협동, 그리고 지혜가 힘을 이길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며, 아이들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생각하게 해줘요. 무섭지만 재미있는 이야기 속에서 자연스럽게 우리 전통문화와 이야기.. 2025. 7.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