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2 우주통신 까막별호 - 안오일 글

by 공부빵 2025. 5. 27.

『 우주통신 까막별호 』

 "아직 엄마가 우리를 사랑하고 있구나.
 우리를 두고 가지 않겠구나 생각했어요.
 엄마 마음을 열 수 있는 비밀번호 중 두 개는 알 것 같아요.
 바로 찬희하고 나예요.
 아빠도 그렇게 생각하죠? 보고 싶어요, 아빠..."



 아빠가 사고로 하늘나라에 간 후, 엄마는 우울증에 걸렸어요.
 찬우와 찬희는 엄마의 병을 낫게 하고 싶어 엄마 찾기 프로젝트를 실행합니다.
 마트에 가서 우울증에 좋다는 음식들도 사 오고, 사람들과 어울리게 하려고 무료 급식 자원봉사에 데려가기도 했어요.
 솔직한 감정을 표현하게 만들려고 엉뚱한 행동을 벌이기도 했죠.
 모든 작전이 성공한 것은 아니지만 아이들은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을 다해요.
 우연히 찬우가 아빠에게 남긴 녹음을 들은 엄마는 자신을 걱정하고 사랑하는 찬우의 마음을 깨닫고 변화할 것을 다짐해요.
 지구별 DJ 찬우는 오늘도 까막별에 있는 아빠에게 가족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생각 키우기

1. 찬우 엄마는 아이들이 아빠를 잃은 것은 본인의 탓이라며 후회하고 있어요. 남편의 꿈을 응원해주지 못한 자신 때문에 남편이 죽었다고 생각하고 죄책감에 힘들어하고 있어요. 정말 찬우 엄마의 잘못이었을까요? 만약 내가 찬우라면, 그 이야기를 알았을 때 어떤 마음이 들었을까요? 그리고 엄마에게 해 줄 수 있는 말은 무엇일까요?

2. 소중한 사람을 잃는 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고통스럽고 힘든 일입니다. 찬우의 엄마는 말수가 줄어들고 우울증에 걸려버리죠. '할머니의 특별한 여행'에서 샛별이는 돌아가신 할머니가 여행을 떠난 거라 생각하며 다시 돌아오시 길 믿고 백일 기도를 합니다. '거짓말쟁이 우리들'에서 남편을 잃은 소미의 엄마는 아픔을 감추고 아무렇지 않은 듯 웃고 떠들고 즐거운 모습을 보여주려 애를 씁니다. 여러 이야기에서 볼 수 있듯이 사람들은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아픔을 극복하려고 다양한 방법으로 애쓰고 있습니다. 어떤 방법이 옳고 그른 것은 없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아픔을 극복할 수 있을까요?

3. 엄마 마음의 비상등이 깜빡이는 걸 본 찬우와 찬희가 엄마 찾기 프로젝트를 합니다. 그 노력이 가져온 결과를 보며, 가족의 힘에 대해 생각해 보아요.

4. 이야기를 조금 더 행복한 이야기로 바꾸어 봅시다. 어떤 이야기로 바꾸면 좋을까요? 아니면 이 이야기 뒤에 이어질 이야기를 상상하며 이야기를 상상해 보아도 좋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