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라인 그루밍이 시작되었습니다 』
『 온라인 그루밍이 시작되었습니다 』의 주인공 소녀 조아가 온라인 채팅을 통해 만난 사람에게 심리적으로 이용당하는 온라인 그루밍 과정을 현실적으로 묘사하며, 디지털 시대의 아이들이 겪을 수 있는 위험과 그 심리적 고통을 깊이 있게 다루는 동화입니다.
조아는 늘 자신을 다른 친구와 비교하며 공부만 강조하는 엄마에게 서운함과 외로움을 느끼는 5학년 소녀입니다. 마음의 공허함을 채우고 싶었던 조아는 친구를 통해 알게 된 랜덤 채팅 앱에 발을 들여놓습니다.
그곳에서 만난 '순수대학생'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오빠'는 조아의 고민을 들어주고 진심으로 위로해 주며 조아의 마음을 사로잡습니다.
조아는 유일하게 자신을 이해해 주는 이 오빠에게 의지하며 모든 것을 털어놓게 되죠.
하지만 오빠는 시간이 지날수록 부적절하고 위험한 부탁을 들어 달라며 조아를 심리적으로 몰아세우기 시작합니다. 조아는 이 관계가 위험하다는 것을 알지만, 그 오빠를 매몰차게 끊어내지 못하고 덫에 갇히는 괴로움을 겪습니다.
이 책은 온라인 그루밍의 은밀하고 교묘한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주면서, 외로움과 불안함으로 마음이 흔들리는 아이들에게 경각심과 동시에 위로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우리 모두가 꼭 알아야 할, 어쩌면 우리 주변에서 이미 일어나고 있을지도 모르는 위험한 이야기, '온라인 그루밍이 시작되었습니다'를 들려줄게.
주인공 조아는 5학년이었지만, 엄마는 늘 '중학생처럼 공부해야 한다'며 조아를 친구들과 비교하고 선행학습반에 등록시켰지.
조아는 자신의 마음을 헤아려주지 않는 엄마에게 깊은 서운함과 외로움을 느꼈단다.
'나도 내 고민을 나눌 친구가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그럼 사는 게 좀 재밌어질 텐데….'
그러던 어느 날, 친구 태리에게서 랜덤 채팅 앱 이야기를 들었어.
'채팅 앱으로 멋진 오빠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대!'
호기심과 외로움에 끌려 조아는 채팅 앱을 깔았고, 그곳에서 '순수대학생'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한 오빠를 만났지.
그 오빠는 정말 달랐어.
조아의 모든 고민을 진심으로 들어주고, 학업 스트레스를 공감해 주었단다.
심지어 힘든 날에는 기프티콘 같은 작은 선물까지 보내주며 조아의 지친 마음을 위로했지.
조아는 처음으로 자신을 이해해 주는 어른을 만난 것 같아 모든 비밀을 털어놓았어.
하지만 시간이 지나자 오빠는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했어.
처음엔 달콤했던 말들이, 어느 순간부터 부적절하고 은밀한 부탁으로 바뀌어 갔지.
조아는 불안함을 느꼈지만, 오빠의 부탁을 거절하면 '유일한 내 편'을 잃을 것만 같아 무서웠단다.
오빠는 조아의 약점을 잡고, 죄책감을 심어주며 조아를 옴짝달싹 못하게 만들었지.
조아는 깨달았어.
이 관계는 더 이상 우정이나 위로가 아니라는 것을.
자신이 위험한 '덫'에 걸렸다는 것을 말이야.
조아는 벗어나고 싶었지만, 오빠는 더 집요하게 조아를 괴롭혔단다.
'왜 나는 이렇게 바보 같을까?'
조아는 자신을 자책하며 괴로워했지.
이 책은 조아가 이 위험한 덫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얼마나 용기 내어 노력하는지를 보여주고 있어.
범죄자들은 아이들의 외로움과 불안함을 먹잇감으로 삼아 다정한 말로 다가온다는 것을 잊지 마.
진정한 위로는 안전하고 건강한 관계 속에서만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말이야.
생각 나누기
1. 조아는 왜 온라인 채팅으로 만난 오빠에게 쉽게 마음을 열고 의지하게 되었나요? 아이들이 온라인 관계에 의존하게 되는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2. 이 책에서 '오빠'가 조아에게 다가갈 때 사용한 '그루밍' 수법(선물, 공감, 위로 등)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나요? 이러한 행동이 왜 위험한 덫이 될 수 있을까요?
3. 만약 여러분의 친구가 조아와 같은 상황에 놓였다면, 어떤 조언을 해주고 싶나요? 주변 어른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여러분의 마음이 외롭거나 힘들 때, 낯선 사람의 달콤한 말에 흔들리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여러분은 소중하고 귀한 존재이며, 진짜 친구와 가족의 따뜻한 품에서 안전하게 위로받을 수 있답니다.
어려움이 있다면 혼자 고민하지 말고, 반드시 믿을 수 있는 어른에게 이야기하는 용기를 가지기를 응원할게요! 💖📱🚫
'맛있는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3 '2084 지구 난민' - 송정양 글 (1) | 2025.09.28 |
---|---|
#102 '무스키' - 전수경 글 (23) | 2025.09.23 |
#101 '감염동물' - 김시경 글 (8) | 2025.09.19 |
#100 '결함이 있어도 나는 나!' - 셰인 헤거티 글 (6) | 2025.09.18 |
#99 '태구는 이웃들이 궁금하다' - 이선주 글 (6) | 2025.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