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6

#20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 - 베르너 홀츠워르트 글 『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 』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는 엉뚱하고도 재치 있는 이야기로 아이들의 웃음을 자아내는 그림책이에요. 어느 날 두더지는 땅 위로 머리를 내밀었다가, 누군가의 똥이 툭! 하고 자기 머리 위에 떨어진 걸 발견하게 돼요. 깜짝 놀란 두더지는 화가 나서 "도대체 누가 내 머리에 똥을 쌌지?" 하고 범인을 찾기 위해 동물 친구들을 찾아다녀요. 각 동물의 응가 모양이 다르다는 걸 하나하나 확인해가며 추리를 해나가고, 마침내 범인을 찾아 통쾌한 복수를 하죠! 유쾌한 이야기 속에 자연의 배설 현상에 대한 지식을 담고 있어서, 아이들이 웃으며 생물의 특징도 배울 수 있어요. 유머와 호기심, 배움이 어우러진 이 책은 아이들에게 “궁금하면 물어보고, 끝까지 알아보는 힘”을 알려주는 아.. 2025. 7. 16.
#19 구름놀이 - 한태희 글 『 구름놀이 』 『구름놀이』는 평범한 하늘을 특별하게 바라보는 아이의 상상력과 느긋한 시간을 담은 그림책이에요. 한 아이가 누워서 하늘을 바라보며 구름을 관찰하다가, 구름들이 동물 모양, 탈것 모양, 웃는 얼굴처럼 보이기 시작해요. 그저 지나가는 구름 속에서도 신기한 이야기들이 펼쳐지고, 마치 놀이터처럼 하늘은 끝없는 상상의 무대가 돼요. 아이는 하늘을 바라보며 혼자서도 놀고, 말없이 지나가는 시간 속에서 자연과 친구가 되죠. 이 책은 빠르게 돌아가는 세상 속에서 잠시 멈춰서 바라보는 것의 즐거움을 전해줘요. 상상은 멀리 있지 않고, 바로 눈앞의 하늘 속에도 숨어 있다는 것, 그리고 혼자만의 조용한 시간도 소중하다는 걸 우리에게 알려주는 따뜻한 그림책이에요. 얘들아, 오늘 난 잔디밭에 누워서 하늘을 .. 2025. 7. 15.
#18 라면 맛있게 먹는 법 - 권오삼 글 『 라면 맛있게 먹는 법 』 『라면 맛있게 먹는 법』은 평범한 음식인 라면을 통해 가족의 사랑, 기다림, 그리고 일상의 따뜻함을 유쾌하게 그려낸 그림책이에요. 주인공 아이가 혼자 라면을 끓이려고 하면서 벌어지는 일들을 따라가다 보면, 라면을 끓이는 방법뿐 아니라, 함께 먹는 즐거움, 기다림의 소중함까지 느낄 수 있어요. 아빠가 외출 중이고 엄마는 피곤해서 쉬고 있는 상황에서 아이는 처음으로 라면을 스스로 끓여보려 해요.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작고 귀여운 실수들과, 그 뒤에 이어지는 가족의 따뜻한 밥상이 이 책의 핵심이에요. 작가는 라면이라는 친숙한 소재로 아이의 자립심과 사랑받고 싶은 마음을 재치 있게 담아냈고, 유쾌한 말놀이와 리듬감 있는 문장으로 아이들의 상상력과 공감을 끌어냅니다. 혼자보다 함께.. 2025. 7. 15.
#17 아주 무서운 날 - 탕무뉴 글 『 아주 무서운 날 』『아주 무서운 날』은 마을 전체가 예상치 못한 불안과 공포에 휩싸이면서 어느 평범한 날, 갑작스레 찾아온 불가해한 사건들을 통해 인간의 본성과 공동체의 민낯을 보여주는 글입니다. 등장인물들의 평소 숨겨왔던 본능과 감정을 드러내는 모습을 그려 놓았습니다. 이야기 전개는 어린아이의 시선에서 관찰되는 세계를 따라가며, 점차 현실과 상상의 경계가 무너지고, 무엇이 진실인지 끊임없이 의심하게 됩니다. 작가는 '무서움'을 단순한 공포가 아닌, 인간 내면의 불안, 타인에 대한 오해, 그리고 집단 속의 폭력성으로 확장시키고 있습니다. 짧지만 강렬한 문장과 상징적인 장면들로 구성된 이 작품은 우리가 '정상'이라 여기는 일상이 얼마나 쉽게 무너질 수 있는지를 경고하며, 인간 존재와 사회의 근본적인 .. 2025. 7. 14.
[Python] print() 함수에서 이스케이프 코드 사용하기 『 print() 함수에서 이스케이프 코드 사용하기 』 print() 함수는 출력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큰 따옴표( " " ) 또는 작은 따옴표( ' ' )를 이용하여 화면 상에 출력할 때 사용합니다.이 때 아래와 같이 큰 따옴표와 작은 따옴표를 혼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원하는 문장이 정상적으로 출력되지만,print("It's sunny.") 아래와 같이 작은 따옴표만을 이용할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합니다.print('It's sunny.') 이 경우 출력할 데이터 전체를 감싸고 있는 작은 따옴표를 큰 따옴표로 변경하거나 작은 따옴표 그대로 표시하고자 하는 문자 앞에 ' \ ' 이스케이프 코드를 사용하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print('It\'s sunny.')print("It's sunny.") 큰 따옴표.. 2025. 6. 27.
[Python] print() 함수를 이용해 출력하기 『 print() 함수를 이용해 출력하기 』 print() 함수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가장 유용하게 사용되는 함수일 것입니다.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하게 될 경우 모두가 print() 함수로 무언가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부터 시작하게 됩니다. 그럼 print() 함수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겠습니다. ■ 함수 정의print(...) print(value, ..., sep=' ', end='\n', file=sys.stdout, flush=False) ■ 함수 사용하기print(출력하고자 하는 데이터) 출력하고자 하는 데이터에는 숫자, 문자, 문자열 등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숫자의 경우 바로 입력이 가능하며, 문자 또는 문자열을 출력할 경우 " "(따옴표) 또는 ' '(작은 따옴표)를 이용하여 출력합니.. 2025. 6. 24.